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고교학점제 도입! 내신 관리 방법 달라진다

by sippingandearning 2025. 4. 22.

고등학교 교육의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습니다. 2025년 전면 시행을 앞두고 있는 ‘고교학점제’는 학생 개개인의 적성과 진로에 따라 수업을 선택하고, 일정 학점을 이수하면 졸업하는 새로운 제도입니다. 이제는 단순한 내신 등수 경쟁이 아니라, 선택과 집중, 그리고 성취평가제 기반의 관리 전략이 필요해졌습니다. 이 변화 속에서 부모와 학생이 꼭 알아야 할 내신 관리의 핵심 포인트를 정리해 드립니다.

고교학점제 계획세우는 학생
고교학점제 계획세우는 학생

1. 등수 아닌 성취도가 기준이 된다

기존 내신은 석차 중심의 상대평가가 중심이었지만, 고교학점제는 ‘절대평가’의 비중이 커집니다. 특히 진로선택과목은 A~C의 성취도로 평가되며, 등수가 아닌 ‘이 과목을 얼마나 이해했는가’가 핵심이 됩니다. 이는 학생들에게 부담을 줄이면서도 진정한 이해와 학습의 깊이를 요구합니다. 즉, 암기 위주의 공부법보다 개념 중심의 학습이 중요해졌고, ‘시험 잘 보는 법’보다 ‘과목을 제대로 이해하는 태도’가 성적을 좌우하게 됩니다.

2. 내신 관리, 과목 선택부터 전략이다

고교학점제에서는 자신이 직접 선택한 과목으로 내신이 구성됩니다. 따라서 과목 선택이 곧 내신 전략인 셈입니다. 무작정 쉬운 과목을 선택하기보다, 자신의 진로와 적성에 맞는 과목을 골라야 향후 수시 지원 시 유리합니다. 대학은 이제 단순히 성적만 보는 것이 아니라, 학생이 어떤 과목을 선택하고, 어떤 성과를 냈는지를 함께 봅니다. 아이의 흥미, 성적 가능성, 대학 학과 연계성 등을 고려해 전략적으로 시간표를 구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 수행평가와 프로젝트 수업의 비중 확대

고교학점제에서는 중간·기말고사 외에도 수행평가의 비중이 증가합니다. 팀 프로젝트, 프레젠테이션, 포트폴리오 등 다양한 형식의 평가가 포함되며, 이는 평소 수업 참여도와 태도에 따라 점수가 달라질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내신 관리를 위해선 시험 대비 공부만으로는 부족하며, 수업 시간부터 성실하게 참여하고 꾸준히 과제를 수행하는 태도가 필요합니다.

4. 자기주도학습 능력이 핵심 경쟁력 된다

더 이상 교사가 일방적으로 가르치고 학생이 수동적으로 따르는 시대는 끝났습니다. 고교학점제에서 학생은 자신의 시간표를 구성하고, 수업을 선택하며, 학습계획을 스스로 세워야 합니다. 즉, 자기주도 학습 역량이 내신의 질을 좌우하게 됩니다. 성적을 잘 받기 위해서는 학습 계획 수립, 시간 관리, 과목별 공부 전략 수립 등의 능력을 키워야 하며, 부모도 단순히 ‘공부하라’고 다그치기보단 아이가 스스로 학습하는 습관을 들일 수 있도록 돕는 조력이 되어야 합니다.

5. 맺음말

고교학점제는 내신 성적의 기준을 바꾸는 제도입니다. 단순한 점수 경쟁에서 벗어나, 학생의 학습 과정과 진로 방향성에 따른 성장 중심 평가로 전환됩니다. 아이가 선택한 과목에서 성취를 이루고, 스스로 학습해 나가는 힘을 기를 수 있도록 학부모의 꾸준한 관심과 대화가 더욱 중요해졌습니다. 제도는 바뀌지만, 아이의 가능성은 늘 부모의 믿음과 응원에서 시작됩니다.